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부자료12

엉덩관절에 발생한 충돌 엉덩관절에도 충돌은 일어난다 목차 1. Hip impingement의 정의 2. 해부학 3. 손상기전 4. 이학적 검사 Hip impingement의 정의 엉덩관절 충돌은 넙다리뼈 머리가 절구에 눌릴 때 발생한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관절와순(비구를 둘러싸는 연골)이 손상되어 엉덩관절의 경직과 통증이 발생하고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서는 엉덩관절을 형성하고 있는 비구와 넙다리뼈 머리, 목의 형태학적 이상으로 인해 서로 부딪혀서 통증ㅇ ㅣ발생되는 질환이라 설명하고 있다. 해부학 엉덩관절은 대퇴골두(Femoral head) 와 비구(Acetabulum)의 깊은 socket 사이에 형성된 관절이다(ball-and-socket 구조). 넙다리뼈 머리와 절구 사이에는 관절연골(articular c.. 2024. 2. 13.
병원에서 받는 기본 물리치료란? 모달리티치료 - 물리치료 다들 가벼운 정형외과적 문제로 인해 병원에 내원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병원에서 받는 물리치료에는 어떠한 것들있는지 알아보자 목차 1. 온열치료 2. 냉 치료 3. 전기 치료 4. 심부 열 치료 5. 신장분사치료 6. 지속적수동운동장치 7. 견인치료 온열치료 다들 병원에서 다음과같은 기구를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원적외선이라는 이름의 치료로 피부 표층에 열을 전달하여 기본적으로 통증 제거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치료의 효과는 근육 이완 및 혈관확장을 통한 혈액순환의 개선으로 통증의 감소 조직의 유연성 증가 통증예방 국소신진대사증가(von't Hoff law: 온도가 10°C상승 → 신진대사량(산화량) 2.5배 증가) 백혈구의 이동증가(식균작용증진) 로 무의식적으로 다들 흔하게 .. 2024. 1. 24.
아킬레스건염에 효과적인 운동치료 아킬레스건염 어떻게 해결할까? 목차 1. 기초 해부학 2. 아킬레스 건 3. 아킬레스 건의 상해기전 4. 아킬레스 건염의 운동치료 기초 해부학 아킬레스건은 아래다리의 뒷부분 즉, 종아리와 발목을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인체에서 가장 강한 힘줄로 설명된다. 아래다리 뒷부분에 위치한 대표적인 근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astrocnemius / 장딴지근 기시 : -내측두 : 대퇴골 내측상과 -외측두 : 대퇴골 외측상과 정지 : -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작용 : ① 발목의 저측굴곡 ② 무릎의 굴곡 (보조) Soleus / 가자미근 기시 : -경골의 넙치선 -비골두 후방과 비골체 정지 : -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작용 : ① 발목의 저측굴곡 기능 - plantar flexio.. 2024. 1. 20.
멍든 무릎 멀쩡할 날 없는 우리 자주 넘어지는 우리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면 된다고 하지만 보통 피부에 생긴 멍때문에 며칠에 걸쳐 쓰리고 아프기 마련이다. 오늘은 이런 멍이 대체 왜 생기는 건지, 언제쯤 괜찮아지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타박상이란? 2. 기전 3. 종류 4. 뼈 타박상 5. PRICE 처치 타박상이란? 타박상(Contusion)은 넘어지거나 혹은 맞거나, 또는 부딪혀서 연부 조직과 근육 등에 손상을 입고 이로 인해 출혈과 부종이 보이는 상태를 이야기한다. 타박상 발생 시 우리가 눈으로 확인하게되는 검푸른 색상의 멍은 피부 속의 세포조직이 파괴되어 피부 속 안에 생긴 출혈을 보게된 것으로 다른 건 몰라도 극심한 통증이 있을 것이다. 발생 부위에 따라 피부 표면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는 피하 타박상(흔하게 당하는 것) .. 2024. 1. 18.
뼈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 2 뼈는 스트레스를 왜 받는걸까? 오늘은 뼈가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과 스트레스 골절의 재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목차 1. 상해기전 1.1 내재적 요인 1.2 외재적 요인 2. 재활방법 2.1 휴식 2.2 냉/온치료 2.3 통증관리 2.4 물리치료 2.5 적절한 재활 운동 상해기전(Mechanism of Injury) 1.1 내재적 요인 내재적 요인은 인체 내부의 문제를 이유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람마다 그 형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수적이다. 아치의 무너짐 (요족, 회내족) 요족은 요정발과 같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으로 발의 아치가 과하게 높아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아치가 높아져 있기 때문에 맨발로 서있는 상황에서도 하이힐을 신은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하루.. 2024. 1. 12.
뼈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우리의 몸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목차 1. 스트레스 골절이란? 1.1 정의 1.2 발생 원인 1.3 흔히 나타나는 부위 2. 스트레스 골절의 원인 2.1 무리한 운동 2.2 반복적인 활동 2.3 잘못된 자세 2.4 기타 원인 3. 스트레스 골절의 증상 3.1 통증 3.2 부종 3.3 발적 증상 3.4 활동 시 증상의 특징 3.5 기타 4. 피로골절의 분류 4.1 분류 4.2 위험도에 따른 분류 5. 치료 방법 5.1 휴식의 중요성 5.2 뼈의 고정 및 보호 5.3 생활 방식의 조절 5.4 보조적인 보행 보조구 사용 6. 스트레스 골절 예방법 6.1 적절한 휴식 6.2 균형 잡힌 운동 6.3 올바른 자세 유지 6.4 신발 및 운동 기구 선택의 중요성 7. 스트레스 골절과 관련된 주의사항 7.1 자가 진단.. 2024.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