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연구 및 논문 리뷰8

무릎의 안정성을 위한 우리 몸의 생김새 무릎의 안정성을 위한 근육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목차 1. 장딴지근은 앞십자인대의 길항근입니다. 2. 앞 십자인대 3. 논문의 실험 과정 4. 논문의 결과 오늘은 앞 십자인대에 장딴지근육의 어떠한 형식으로 작용하는가?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장딴지근은 앞십자인대의 길항근입니다. 먼저 길항근이 무어냐 하는 것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어 가져왔다. 길항근이란 대항근이라고도 불리며, 어떤 한 근육의 작용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을 이야기한다. 하나의 특정한 근육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작용하는 한 근육이 있으면 그에 반해서 사용되는 대항근이 상대적으로 정하여진다. 길항근은 하나의 근육이 할 수 없는 작용을 대신한다. 말이 좀 어려울 수 있는데 근육은 보통 수축하여 작용된다는 사실을 다들 알고 있을 .. 2024. 1. 31.
앞십자인대에 효과적인 운동에 관한 연구 ACL 재활에 대한 외재적 운동학습 중재의 효과에 관한 연구 목차 1. 배경지식 2. 암시학습이 ACL재활에 좋은 이유? 3. Reappraising explicit motor learning 4. Explicit learning strategies to correct 배경지식 ACL(앞십자인대)의 파열은 급속히 증가되고있는 추세이며, 현재 ACL부상 후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치료는 신경근 재활 치료임을 설명하고있다. 운동의 재학습은 무릎의 이차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노력의 일환으로 ACL부상재활프로그램에서는 신경근 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해 암시상태에서 운동을 적용하는 학습 전략이 포함되어 샤용된다. 암시학습이 ACL재활에 좋은 이유? implicit learning(암시학습) 중재의 이론적인 .. 2024. 1. 22.
어깨 충돌증후군을 해결하기위한 방법 오늘은 어깨충돌증후군환자에게 편심성 훈련을 적용한다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에대해 연구된 2012연도 논문을 들고왔다. 1. 연구 목표 및 가설 2. Eccentric & Isokinetic 3. 참가자 및 연구방법 4. 측정도구 5. 결과 6. 고찰 다음의 논문에서 제목을보면 Eccentric training이라는 단어가 있다. 논문을 살펴보기에 앞서 eccentric이라는 용어를 체크해보자. 한국어로 편심성 신장성이라는 단어가 연관검색어로 많이 떠오를 텐데 근육의 길이가 시작지점과 비교하였을 때 늘어나면서 수축(힘)이 발생하는 것을 신장성 수축이라고 한다. 신장성 수축은 말 그대로 근육의 섬유가 길어지며 힘이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적수축이나 동심성 구축보다는 근육을 키우는 측면에서는 효율적이라고 .. 2024. 1. 16.
목이 아프면 실제로 뻐근할까? 선생님 목이 너무 아프고 뻐근해서 왔어요 목차 1. 들어가기에 앞서 2. 소개 3. 실험 방법 3.1 참가자 3.2 측정 장비 3.3 통계 4. 결과 5. 고찰 6. 결론 7. 나의 고찰 들어가기에 앞서 병원에서 물리치료사로 근무하면서 목의 문제로 오는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 통증만을 호소하진 않는 것 같다. 주로 통증과 동반된 뻐근함에 대해서 호소를 하는 편인데 다음 사진은 실제로 내가 치료했던 환자다. 한 달 간격으로 촬영한 목 통증 환자로 주 1회 내지 2회씩 한 달간 치료를 시행했었다. 사진에서 나와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목뼈(경추) 각각의 개별적인 움직임과 증가된 목의 가동범위 늘어난 목 뒷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똑같이 한달 간격으로 촬영한 동일한 환자의 목 폄(extension) 사진이.. 2024. 1. 14.
목의 고유수용성 감각 Improving Cervical proprioception 뇌와 척수 우리 몸의 뇌를 사진으로든 그림으로든 접해본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우리몸의 뇌 중 뇌줄기라고 하는 다리모양의 부위가 있으며, 뇌줄기의 숨뇌는 L1까지 확장되는 긴 관모양의 구조를 가지고있다. ​ 다음의 그림처럼 L1까지 숨뇌의 확장이 있기 때문에 성인의 척수는 L1 레벨정도에 위치하며,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척주의 성장속도가 척수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마지막 뿌리부위는 말총모양의 다발을 형성하며 꼬리쪽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 해서 그림으로보면 다음과 같다 ^^ ​ 또한 숨뇌의 연장선인 척수의 절단면을 보면 위의 그림과 같이 백색질/흑색질(White/Gray mater)로 구분되어 나누어져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백색질 및 .. 2023. 12. 24.
코어 안정화에 대한 비판론 진정한 코어 안정화의 의미란 무엇일까? 오늘은 코어 안정성에 대해 비판자의 시선에서 논문 한 편을 소개하려 한다. ​ Lederman의 2010년 논문을 보고 코어 안정성에 대해 스스로 고찰을 해봤으면 좋겠다. ​ 본 연구에 따르면 Core Stability(CS)란 1990년대 후반에서부터 등장했으며, Back pain이나 Chronic LBP환자에게서 Trunk muscle의 수축개시시간을 확인하며 설명되었다고 한다. 또한 몸통 조절(*본 연구에서는 Trunk control이라는 명칭으로 사용 되었음)과 관련한 연구는 LBP에서 신경근 재구성(neuromuscular reorganisation)을 사회적으로 이해시켰다고 한다. ​ 이러한 발견들은 사람들에게 LBP에서의 탈출을 위해 복부 근육의 중요성.. 2023. 12.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