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통증4

아킬레스건염에 효과적인 운동치료 아킬레스건염 어떻게 해결할까? 목차 1. 기초 해부학 2. 아킬레스 건 3. 아킬레스 건의 상해기전 4. 아킬레스 건염의 운동치료 기초 해부학 아킬레스건은 아래다리의 뒷부분 즉, 종아리와 발목을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인체에서 가장 강한 힘줄로 설명된다. 아래다리 뒷부분에 위치한 대표적인 근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astrocnemius / 장딴지근 기시 : -내측두 : 대퇴골 내측상과 -외측두 : 대퇴골 외측상과 정지 : -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작용 : ① 발목의 저측굴곡 ② 무릎의 굴곡 (보조) Soleus / 가자미근 기시 : -경골의 넙치선 -비골두 후방과 비골체 정지 : - 아킬레스건으로 되어 종골에 부착 작용 : ① 발목의 저측굴곡 기능 - plantar flexio.. 2024. 1. 20.
목이 아프면 실제로 뻐근할까? 선생님 목이 너무 아프고 뻐근해서 왔어요 목차 1. 들어가기에 앞서 2. 소개 3. 실험 방법 3.1 참가자 3.2 측정 장비 3.3 통계 4. 결과 5. 고찰 6. 결론 7. 나의 고찰 들어가기에 앞서 병원에서 물리치료사로 근무하면서 목의 문제로 오는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 통증만을 호소하진 않는 것 같다. 주로 통증과 동반된 뻐근함에 대해서 호소를 하는 편인데 다음 사진은 실제로 내가 치료했던 환자다. 한 달 간격으로 촬영한 목 통증 환자로 주 1회 내지 2회씩 한 달간 치료를 시행했었다. 사진에서 나와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목뼈(경추) 각각의 개별적인 움직임과 증가된 목의 가동범위 늘어난 목 뒷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똑같이 한달 간격으로 촬영한 동일한 환자의 목 폄(extension) 사진이.. 2024. 1. 14.
엉덩관절(고관절)의 이학적 검사-2 허벅지 둘레 측정 •허벅지 둘레는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한 근위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측정은 무릎을 90도 구부려 허벅지를 수평으로 맞춰놓은 상태로 의자에 앉아서 한다. •측정 전 화장실가면 더 좋다(relaxation) / 일반적으로 우측 허벅지 측정(비만 등의 문제를 체크할 때) 둘레를 측정하는 Original방법은 먼저 측정할 위치를 허벅지에 표시한다. 먼저 patella의 proximal boarder를 찾고 대상자의 inguinal crease(사타구니주름)의 midpoint를 찾는다.(inguinal crease는 sitting에서 hip flexion시키면 수축 느껴지는 지점 찾을 수 있음) 이 둘의 중간 지점이 둘레를 측정하게 될 위치다. 중간지점은 그림과 같이 줄자를 이용하여 .. 2024. 1. 1.
엉덩관절(고관절)의 이학적 검사 엉덩관절을 이루는 근육 엉덩관절을 이루는 근육이 너무 많아 다 담기에 무리인 면이 있고, 이야기하는 저서마다 나누는 구역에 따른 포함 및 미포함 근육이 있기에 이렇다 하고 설명할 순 없지만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엉덩관절 굽힘근으로 Psoas Major Psoas Minor Iliacus Pectineus Quadriceps Sartorius 그리고 폄근으로 G-Max Hamstring 모음근으로 Adductor Magnus Adductor Longus Adductor Brevis Gracilis Pectineus Sartorius 벌림근으로 G-Med TFL 안쪽돌림근으로 G-Med G-Min 가쪽돌림근으로 G-Max Gemellus sup/inf Obturator ER/IR Quadratus Femori.. 2023. 12.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