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자료

Ankle Sprain Rehab(발목염좌 재활)

by Dr.Bong 2024. 1. 7.
728x90
반응형
728x90

그렇다면 발목염좌는 왜 생기게 되는 걸까? 이유를 알아보자

우리의 몸은 비골의 외측과(바깥쪽 복숭아뼈)가 경골의 내측과(안쪽 복숭아뼈) 보다 더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목을 안쪽으로 젖히는 동작이 더 크게 발생하며 → 가쪽인대손상의 잦은손상의 원인

인대의 안정성 문제 (내측인대들이 더욱 안정성 제공) : 생겨먹은 모양이 위와 같아서 그런지 가쪽 인대는 안쪽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동성에 유리하도록 유연함이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움직임에서도  Inversion 22.6> Eversion 12.5도 위에 설명한 내용과 일치한다.

인대손상

인대손상의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https://blog.naver.com/onupain/223073726354

Grade 1: 늘어난 상태, 경미한 Edema

Grade 2: 부분 파열, Edema, 체중부하가 안됨

Grade 3: 완전 파열(Pop sound), Edema, 각도 안나옴, 체중부하 안됨

Symptom: 혈종, 부종, , 압통, 열감

보통 G3를 수술 적응증으로 보는 것 같다.


발목인대염좌 재활 방법

재활은 보통 급성일경우 PRICE요법과 NSAID를 사용하며

Subacute의 경우 온열치료와, 재활운동을 병행하여 적용한다.

먼저 손상을 확인하기위해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는데 이학적검사는 흔히 다음과 같은 검사가 자주 사용된다.

https://blog.naver.com/freer9/70155938744

<anterior drawer test 검사 (ATFL 손상 유무)>

- 발이 앞으로 밀려 나올 경우(+)

- 끝 지점에서 덜컥 거리는 소리가 날 경우(+)

https://blog.naver.com/leetr9243/222896004539

<Talar tilt검사 (CFL의 손상 유무)>

- 거골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검사를 통해 양성으로 판단되면 일련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상태에 맞는 단계부터 재활을 시행한다.


다음은 흔히 알려져있는 재활의 프로토콜이다.

Phase 1

Exercise :

- Dorsi, Plantar rom Exercise(passive à active)

- Rom exerciseà(ankle pump,  ABC 알파벳운동, Gymball sitting rom)

- Calf muscle Stretching

ect:

-Upper Exercise, cardiovascular endurance

Goal :

-통증과 부종의 감소                                     
-가동범위 확보

 - PWB(부분체중부하)


Phase2

Exercise:

- 점진적인 체중부하의 확정(통증이 조절된 상태에서)

(wall calf raise, Lunge for ankle DF)

- monster walking

Balance Training

- Single leg deadlift corn touch

Goal:

- 전체 체중부하
- 근력, 근지구력 회복

- 고유감각, 민첩성, 협응 재건


Phase3

Exercise:

- Plyometric – hoping, box jump
- Proprioception Exercise
- Strength
 
Coordination (스포츠 특성화된 훈련)

: ladder step exercise, Bosu를 사용한 훈련

Goal:

- 근력,지구력, 파워 향상
- 기능적/스포츠 특화된 기술 증진

- 고유감각, 민첩성, 협응 증진

발목염좌의 재활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시간엔 복귀기준에 대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