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자료

엉덩관절(고관절)의 이학적 검사-3

by Dr.Bong 2024. 1. 3.
728x90
반응형
728x90
1.Muscle tear(Adductor, flexor…)
2.Contusion
3.Muscle attachment laceration
4.Impingement

0910,13/14년사이의 25NCAA(전미대학체육협회)스포츠에서는 총 1,984건의 고관절부상이 보고되었으며,

보고에 따르면, 부상의 빈도수는 다음과 같이 고관절 주변의 muscletear가 첫번째로 많았고,

두번째로 고관절 주변 근육의 타박상 그리고 뒤이어 세번째로 근 부착부의 열상(찢김)과 네번째로 고관절 충돌이 대표적으로 많이 나타난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Cruz et al., 2019).

 

Muscle Strain/Tear Special test

Adductor Strain

1)Lynch, T. S., Bedi, A., & Larson, C. M. (2017). Athletic hip injuries. JAAOS-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5(4), 269-279;  11)Delahunt, E., Kennelly, C., McEntee, B. L., Coughlan, G. F., & Green, B. S. (2011). The thigh adductor squeeze test: 45 of hip flexion as the optimal test position for eliciting adductor muscle activity and maximum pressure values. Manual therapy, 16(5), 476-480.

내전근 복합체에는 장내전근(adductor longus), 대내전근(adductor magnus), 단내전근(adductor brevismuscles)과 함께 gracilis, obturator externus pectineus 근육이 포함된다.

내전근 복합체는 근육 수축 동안 장내전근의 작은 힘줄에 가해지는 큰 기계적 부하로 인해 스포츠 활동 중 부상을 입기 쉬우며, 근육과 건에서 eccentric contraction 중에 발생한다.

장내전근이 고관절 굴곡의 최대 90도 각도에서 보조 고관절 굴곡근으로 작용하지만 고관절 굴곡의 90도는 보조 고관절 신근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고관절 굴곡 45도 위치에서 내전근은 고관절 굴곡 0도와 90도에 비해 기계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내전근 유합부에서 부상을 입은 운동선수는 치골의 기점 또는 그 부근에서 촉진 시 통증 / 근건 손상은 더 원위부에 통증을 동반하고, Adductor muscleinjury는 방향전환, , reaching, jumping 등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있다.

Quadriceps Strain

11)Martin RL, Sekiya JK.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4 clinical tests used to assess individuals with musculoskeletal hip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8 Feb;38(2):71-7.

검사자는 환자가 이완된 상태에서 엎드린 상태에서 슬관절을 수동적으로 빠르게 굴곡시킨다.

빠른 움직임은 근육 수축을 측정하는 느린 움직임과 대조적으로 대퇴직근의 속도 의존 경련을 테스트한다.

수동적 무릎 굴곡 동안 환자가 동측 고관절을 동시에 굴곡하거나 검사자가 저항을 느끼는 경우 검사는 양성으로 간주된다(그림 a-d).

Ely 검사는 대퇴직근 경직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다른 연구에서는 EMG가 장요근이 이 테스트 동안 대퇴직근과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Ely 테스트 시연. 빠른 수동적 무릎 굴곡 동안 검사자는 저항(또는 캐치)을 느낀다.

추가 무릎 굴곡 또는 고관절 굴곡에 대한 저항은 일반적으로 1b1c 사이에 발생한다.

그림 1d는 대퇴직근의 고정 구축이 없음을 나타내는 전체 동작 범위를 보여준다.

Hamstring Strain

1)Zeren, B., & Oztekin, H. H. (2006). A New Self-diagnostic Test for Biceps Femoris Muscle Strains.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6(2), 166–169.

Hamstring straineccentric contraction이나 스트레칭에서 과도한 근육 긴장이 원인이다.

이 테스트는 Hamstringstrain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다. 먼저 대상자에게 그림과 같이 서 있는 동안 다른 쪽 신발의 도움을 받아 검사 측의 신발을 벗도록 요청한다.

이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검사측 뒷발은 다른 쪽 발의 세로 아치를 눌러야 한다. 검사측 다리는 Hip에서 약 90external rotation, knee flexion 20~25도로 실시한다.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external rotation할 때 Biceps femoris는 허벅지 뒤쪽과 평행이 됩니다. 이때 무릎을 강하게 구부리면 손상된 근육이 수축된다.

발뒤꿈치에서 신발을 들어 올리려고 하는 동작 동안 손상된 부위에 날카로운 통증을 느끼면 양성으로 판정한다.

Osteitis Pubis

1)Lynch, T. S., Bedi, A., & Larson, C. M. (2017). Athletic hip injuries. JAAOS-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5(4), 269-279.

직접적으로 Pubis symphysispalpation을 통한 압력을 가해 통증의 유무를 파악하는 것으로

pubic symphysis(치골 결합)는 골반 앞쪽에서 발생하는 힘의 지렛대 역할을 한다.

복직근 힘줄과 세 개의 내전근 힘줄이 치골 결합의 섬유연골판에 부착되어 골반 전방 안정화를 제공한다.

코어 회전 및 확장 동안 이 근육은 길항제 역할을 한다.

Rectus abdominal m은 골반을 높이고 Adductor는 골반을 내린다.

이러한 근육 중 하나에 대한 부상은 symphyseal biomechanics를 변경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치골의 스트레스 손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치골 결합부 연골의 퇴행도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치골염의 경우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에는 치골 결합부의 용해성 변화, 경화증 및 결합부의 확장이 포함(X-ray사진의 동그라미 : 치골 골염의 전형적인 소견을 보여주는 AP 방사선 사진: 낭성 변화, 경화증, 치골 결합의 확장.)

Anterior Labral Tear(ALT) Special test

11)Leibold, M. R., Huijbregts, P. A., & Jensen, R. (2008). Concurrent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physical examination tests for hip labral lesion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16(2), E24–E41. https://doi.org/10.1179/jmt.2008.16.2.24E

Labaral tear test의 경우 손상 위치에 따라서 test 방법이 다른데 anterior는 위의 사진과 같이 HipFlexion, External Rotation, and full abduction 에서 시작하여, Internal rotation, and Adduction시키며 extension을 실시하고,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움직일 때 딸깍하는 소리가 나면 양성으로 진단할 수 있다.

Abductor test

11)Hardcastle, P. H. I. L. I. P., & Nade, S. Y. D. N. (1985). The significance of the Trendelenburg test.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British volume, 67(5), 741-746.

다음은 Hip labral tear repair protocol에서 중요하게 보는 Trendelenburg sign을 확인할 수 있는 test이.

Labral tear repair에서는 대칭적인 gait를 위한 G-med의 역할을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gait를 시킴으로써 확인할 수도 있지만, 다음의 test를 통해 좀 더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1)검사자는 환자 뒤에 서서 골반(장골 능선을 연결하는 선)과 지면 사이의 각도를 관찰합니다(그림 7).
2)환자는 고관절을 중립에서 30도로 굴곡시킨 상태에서 검사하지 않는 쪽의 발을 땅에서 들어올리도록 요청받는다. 무릎은 대퇴직근의 효과를 무효화하기 위해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충분히 굽혀야 한다. 골반의 위치가 다시 기록된다(그림 8).
3)지지 스틱은 체중을 지탱하는 엉덩이 쪽에서만 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안으로. 막대기 없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검사자가 양쪽 어깨를 지지할 수 있다(그림 12).
4)일단 균형이 잡혔다면, 환자는 골반의 서 있지 않은 쪽을 가능한 한 높이 올리도록 요청받는다(그림 9).
5)검사자는 서 있는 쪽 팔을 잡고 환자를 지지할 수 있다(그림 10, 그림 II와 비교).
6)환자가 체중을 지지하는 엉덩이의 측면으로 너무 많이 기울어지면 검사자는 어깨에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여 이를 교정하여 척추 돌출부가 대략 엉덩이 관절과 체중을 지지하는 발의 중심 위로 가져오도록 한다(그림 4).
1.(a) 자세를 취하지 않은 쪽의 골반이 스탠스 쪽의 고관절 벌림이 허용하는 높이만큼 올라갈 수 있고 이 자세가 30초 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경우 응답은 정상(, 테스트는 "음성")
2.(b)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응답은 비정상(, 테스트가 "양성"). 여기에는 자세 쪽보다 자세가 좋지 않은 쪽에서 골반이 올라가지만 이 높이가 최대가 아닌 반응이 포함
3.(c) 명령에 따라 골반을 들어올릴 수 있지만 30초 동안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응답도 비정상
4.골반이 떨어지기 시작하기 전에 걸린 시간이 기록된다. 시간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비교 목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