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L 재활에 대한 외재적 운동학습 중재의 효과에 관한 연구
목차
1. 배경지식
2. 암시학습이 ACL재활에 좋은 이유?
3. Reappraising explicit motor learning
4. Explicit learning strategies to correct
배경지식
ACL(앞십자인대)의 파열은 급속히 증가되고있는 추세이며, 현재 ACL부상 후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치료는 신경근 재활 치료임을 설명하고있다.
운동의 재학습은 무릎의 이차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노력의 일환으로 ACL부상재활프로그램에서는 신경근 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해 암시상태에서 운동을 적용하는 학습 전략이 포함되어 샤용된다.
암시학습이 ACL재활에 좋은 이유?
implicit learning(암시학습) 중재의 이론적인 이점은 운동선수가 일반인에 비해 학습과정면에서 더 일찍 Automatic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Reappraising explicit motor learning
implicit learning(암시학습) 중재의 이론적인 이점은 운동선수가 일반인에 비해 학습과정면에서 더 일찍 Automatic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개인에 따라 고유 감각과, 동작에 대한 기억 및 운동 학습 선호도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ACL 부상 재활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CL은 손상 후 고유 감각 결손이 흔하다. 고유 감각은 효과적인 자동 움직임 제어의 핵심요소이며, 해당 감각의 결손은 암시상태에서의 운동학습 중재보다는 암시가 없는 상태에서의 운동학습 중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암시상태에서의 운동학습적 중재는 개인의 선호도와 일치될 때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Explicit learning strategies to correct
suboptimal movement patterns
ACL 부상 후 운동선수가 수행해 나아가는 상황또한 중요하게 체크해야할 부분이다. 비접촉 ACL부상이 발생하는 인지하기 어려운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이에 저항하는 복잡한 운동성능을 위해서는 외재적인 조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운동선수는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자동성 운동 반응을 수정하고 필요에 따라 기술을 약간씩 변경하며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엘리트 운동선수는 외재적 개입을 성공적으로 사용하여 문제가 있는 동작을 자동화하고 개선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ACL재활에서 외재적 운동학습 중재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연구 및 논문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의 안정성을 위한 우리 몸의 생김새 (5) | 2024.01.31 |
---|---|
어깨 충돌증후군을 해결하기위한 방법 (0) | 2024.01.16 |
목이 아프면 실제로 뻐근할까? (1) | 2024.01.14 |
목의 고유수용성 감각 (2) | 2023.12.24 |
코어 안정화에 대한 비판론 (1)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