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 및 논문 리뷰

목의 고유수용성 감각

by Dr.Bong 2023. 12. 24.
728x90
반응형
728x90
Improving Cervical proprioception
뇌와 척수

우리 몸의 뇌를 사진으로든 그림으로든 접해본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우리몸의 뇌 중 뇌줄기라고 하는 다리모양의 부위가 있으며, 뇌줄기의 숨뇌는 L1까지 확장되는 긴 관모양의 구조를 가지고있다.

다음의 그림처럼 L1까지 숨뇌의 확장이 있기 때문에 성인의 척수는 L1 레벨정도에 위치하며,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척주의 성장속도가 척수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마지막 뿌리부위는 말총모양의 다발을 형성하며 꼬리쪽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해서 그림으로보면 다음과 같다 ^^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loonylabs.org%2F2020%2F02%2F05%2Fspinal-cord-enlargements%2F&psig=AOvVaw3l1h5oYSw1LUv3l47QbSWb&ust=1690687793669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BEQjRxqFwoTCNDiyPz8soADFQAAAAAdAAAAABBk

또한 숨뇌의 연장선인 척수의 절단면을 보면 위의 그림과 같이 백색질/흑색질(White/Gray mater)로 구분되어 나누어져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백색질 및 흑색질은 감각 및 운동 신경지배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백색질의 절대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회색질의 크기는 해당 레벨의 신경원이 지배하는 영역이 넓을수록 커지게 된다.

이러한 감각 및 운동 신경지배의 밀도가 특히 높아 부풀어있는 부분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ru.scribd.com%2Fdocument%2F23684567%2Frecognization-on-section-of-spinal-cord&psig=AOvVaw3l1h5oYSw1LUv3l47QbSWb&ust=1690687793669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BEQjRxqFwoTCNDiyPz8soADFQAAAAAdAAAAABBH

 

cervical enlargement(목 팽대부) 및 Lumbar enlargement(허리-엉치 팽대부)라고 하며, 밀집된 신경원들로 인해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위이며, 이번 챕터의 내용인 목에서 고유수용성감각이 왜 중요한지를 해부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목의 감각운동 제어

 

10.1007/s40122-020-00230-z

경추 감각운동 제어는 모든 구심 정보(즉, 시각, 전정 및 경추 고유 수용 입력)의 중앙 통합 및 처리와 경추 근육을 통한 운동 프로그램 실행을 포함하여 머리 자세 및 균형 유지에 기여한다.

목 통증에 이차적인 경추 감각운동 조절 장애는 통증 조직의 추가 자극을 제한하기 위한 보호 반응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보호반응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 조직 손상이 더 발생하고, 말초 및 중추 신경계 민감화를 통해 통증을 악화되는 등 기능 장애 운동 패턴을 촉진할 수 있다.

​ 목 감각 운동 제어 검사

목의 감각 운동이 잘 제어가 되고 있는지를 체크하여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했던 부분의 검사를 다 해줄 수록 좋다. 다음은 목 통증의 병태생리학과 관련된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는 검사와 검사 방법이다.

시험
목적
측정(단위)
방법
관절위치오류검사
     
(JPET)
머리를 제시한 위치로 재배치하는 기능을 평가
머리의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한 오류정도
참가자는 90cm 떨어진 벽의 목표물을 향하여 의자에 앉습니다. 특정 레이저 포인터를 머리 위에 놓고 참가자는 눈을 가립니다. 정확히 대상 중앙에 있는 레이저 포인터로 시작하는 동안 참가자는 대상에서 머리를 멀리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습니다. 중앙으로 돌아온 후 시작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오차를 평가합니다.
자세 동요 평가
조용한 자세에서 움직임의 양
동요된 영역(cm2) 또는 총 동요 경로(mm)
두 눈을 뜨고 눈을 감은 상태에서 힘 플랫폼에서 자세를 취하는 동안 기록됨
주관적 시각 수직
실제 수직선과 정렬되도록 화면에 표시된 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
실제 수직 오차(도)
컴퓨터 화면, 디스크 또는 가상 현실 장치에 기울어진 선이 나타납니다. 참가자는 컴퓨터 마우스 또는 컨트롤 노브를 사용하여 실제 수직선과 정렬되도록 선의 위치를 ​​변경해야 합니다.
머리 기울임 반응
수직선으로 선을 그릴 수 있는 능력
실제 수직 오차(도)
한 쌍의 가상 현실 고글에 기울어진 흰색 줄무늬가 나타납니다. 참가자는 스트라이프가 중력 수직선과 정렬될 때까지 머리의 롤 각도를 조정하도록 지시받습니다.
Smooth pursuit neck torsion
몸통이 머리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안 눈의 움직임
중립 위치와 비틀림 위치에서 눈과 표적 움직임 사이의 비율
참가자는 움직이는 대상에 시선을 집중하고 머리를 중립 위치와 몸통이 머리에 대해 회전하는 위치(비틀림)에서 움직이지 않게 유지합니다. 목표물을 따라가는 동안 눈 움직임의 속도가 기록됩니다. 게인(눈 움직임과 대상 움직임 사이의 비율)이 계산됩니다. 결과 측정(부드러운 추격 목 비틀림)은 중립 이득과 비틀림 평균 이득(오른쪽 및 왼쪽) 간의 차이입니다.
The Fly
특정 패턴으로 움직이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대상을 추적하는 기능
대상과의 오차(cm 또는 mm)
참가자는 머리와 목을 움직여 컴퓨터 화면에서 대상(The Fly)을 추적합니다. Fastrak 시스템은 정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난이도(즉, 다른 플라이 패튼)에 대해 성능의 정확도가 보고됩니다.
머리 안정
일정 시간 동안 머리를 고정하는 기능
각속도(도/초)
고부하 시험과 저부하 시험에서 두 번의 40초 아이소메트릭 목 굴곡 시험 동안 머리 운동 속도 측면에서 머리 안정도를 비교합니다. 증가된 속도는 감소된 헤드 안정성을 반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드 및 프레임 테스트
오프셋 로드를 수직 위치로 배치하는 기능
수직 인식 오차(정도)
막대와 프레임은 사각형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발광 수직 막대로 구성됩니다. 참가자는 발광 수직 막대와 사각형 프레임만 있는 어두운 방에 배치됩니다. 다른 테스트 프로세스에서 테스트 막대 또는 프레임 오프셋은 서로 다른 각도로 이루어지며 피험자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막대를 수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실제 수직선과 수직선에 대한 피험자의 인식 차이를 측정합니다.

de Zoete, R. M. J., Osmotherly, P. G., Rivett, D. A., & Snodgrass, S. J. (2020). Seven cervical sensorimotor control tests measure different skill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idiopathic neck pain. Brazilia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24(1), 69–78. https://doi.org/10.1016/j.bjpt.2018.10.013;

Humphreys B. K. (2008). Cervical outcome measures: testing for postural stability and balanc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31(7), 540–546. https://doi.org/10.1016/j.jmpt.2008.08.007;

Michiels, S., De Hertogh, W., Truijen, S., November, D., Wuyts, F., & Van de Heyning, P. (2013). The assessment of cervical sensory motor control: a systematic review focusing on measuring methods and their clinimetric characteristics. Gait & posture, 38(1), 1–7.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2.10.007

 

Redirecting

 

linkinghub.elsevier.com

 

목과 관련된 운동 중재방법

Jull, G., Falla, D., Treleaven, J., Hodges, P., & Vicenzino, B. (2007). Retraining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the effect of two exercise regimes.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Orthopaedic Research Society, 25(3), 404–412. https://doi.org/10.1002/jor.20220

앞서 설명한 검사를 바탕으로한 운동중재 방법과 깊은 목 굽힘근육의 안정화 운동을 비교한 연구결과 두 운동중재 모두 목의 고유수용성감각 증진에 효과가 있었지만 고유수용성 훈련에서 약간 더 이점이 있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아래의 그림에서 목 굽힘 운동과 운동감각 재훈련은 모두 관절위치오류(JPE의 변화)와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운동 할수록 관절위치오류가 감소한다는 뜻), Pearson 상관 계수는 각 움직임 방향에서 운동감각 재훈련이 목 굽힘 운동에 비해 지속적으로 더 높았음을 나타내었다(이는 본 연구에서는 6주간 중재를 적용하여 결과를 보았지만 중재를 오래하면 오래할 수록 장기적인 효과는 운동감각 재훈련이 목 안정화운동보다 더 좋을 수 있다는 뜻).

운동감각 재훈련으로 사용한 중재는 다음과 같다.

  1. 머리 재배치 연습 : 머리를 원래의 머리 자세로 되돌리고 미리 정해진 범위의 위치로 다시 재배치하는 연습(레이저를 잉요하여 눈을 뜨고 감으며 목의 움직임을 원래 머리의 위치로 정확히 되돌리려는 과정을 반복하는 훈련)
  2. 안구 운동 연습 : 하나의 목표물을 주고 목표물에 시각을 고정한 상태에서 머리를 움직이며 실행
  3. 눈/머리 조정 운동 : 눈과 머리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좌,우) 이후 대상자에게 먼저 눈으로 목표물을 보라고 한 뒤 초점을 유지한 상태로 목을 움직이며 시행

움직임의 속도와 범위, 목표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강도를 수정하며 운동을 진행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