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충돌증후군을 해결하기위한 방법
오늘은 어깨충돌증후군환자에게 편심성 훈련을 적용한다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에대해 연구된 2012연도 논문을 들고왔다.
1. 연구 목표 및 가설
2. Eccentric & Isokinetic
3. 참가자 및 연구방법
4. 측정도구
5. 결과
6. 고찰
다음의 논문에서 제목을보면 Eccentric training이라는 단어가 있다.
논문을 살펴보기에 앞서 eccentric이라는 용어를 체크해보자.
한국어로 편심성 신장성이라는 단어가 연관검색어로 많이 떠오를 텐데
근육의 길이가 시작지점과 비교하였을 때 늘어나면서 수축(힘)이 발생하는 것을 신장성 수축이라고 한다.
신장성 수축은 말 그대로 근육의 섬유가 길어지며 힘이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적수축이나 동심성 구축보다는 근육을 키우는 측면에서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가 길어짐에 따라 근육의 좌상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일이 다른 수축보다 많아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초기재활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운동 전 스트레칭이 유독 강조되는 수축운동 방법이다.
그렇다면 해당 논문에서는 신장성 수축을 사용한 훈련으로 어깨충돌증후군 환자에게 어떠한 효과가 나타났는지 살펴보자
연구 목표 및 가설
Eccentric & Isokinetic
또한 Eccentric(편심성)과 Isokinetic(등속성)이라는 수축방법에 다음과 같이 추가 설명을 하고 있다.
- 사람은 들어올리는 것 보다 내리는 것에 더 많은 무게를 감당 할 수 있음
- 사람은 단축성 수축보다 신장성 수축 동안에 상대적으로 더 낮은 근육부하를 느낌
- 속도가 정해지므로 운동 중 저항이 적은 구간에 이르면 더 힘을 주거나 저항을 증가 시킬 수 있어 전 범위에 걸쳐 최대한의 자극을 유지할 수 있음
- 등속성 운동 중 통증이 발생한다면 가하던 힘만 중단하면 기계가 멈추기 때문에 안정성에 뛰어남
참가자 및 연구방법
연구의 참가자는 다음과 같았다.
평가시기는 다음과 같았다.
- 평가 1: 그룹 1 중재 시작 전 평가
- 평가 2: 그룹 2 중재기간 4주간 평가
- 평가 3: 그룹 3 6주간 중재 후 평가
- 평가 4: 그룹 4 중재종료 6주 후 평가
측정도구
- isokinetic dynamometer (Biodex Multi-Joint System 3, Biodex Medical System Inc., NY, USA)
•항상 일정한 속도를 내는 특수 운동기구•저항을 변동시켜 운동속도를 제어•운동범위 또한 필요에 맞게 조정•근력 및 지구력 테스트, 향상•Agonist/antagonist ratio측정•여러관절측정가능
결과
고찰
추후에 리뷰하겠지만 아킬레스건염에 관한 효과적인 중재를 설명하는 논문에서는 아킬레스건에 적용한 여러 운동 중 무거운 부하를 동반한 신장성 운동이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오늘 살펴본 연구 또한 아킬레스건 연구와 동일하게 과한 염증에 대해 신장성 수축을 통하여 염증의 수치를 나추고 정확한 중재의 기간을 특정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측정을 하였고 6주라는 운동의 결과를 설명했던 것 같다.
이와 동일하게 여러 연구에서 힘줄염에 대한 신장성 운동의 효과를 밝히는 논문들이 많이 보이는데 실질적인 효과와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및 시간 강도가 세밀하게 조정된 프로그램이 어서빨리 나오길 희망해본다.